왕실 계보도
조(祖)와 종(宗)은 문무(文武)와 관련된 게 아니라 혈통을 새로 세우면 조(祖)라 하고, 그 혈토을 그대로 이어나가면 종(宗)이라고 하는 겁니다.
대개 혁명을 일으켜서 새로운 혈통이 되다 보면 조(祖)가 무(武)와 관련된 것처럼 보이겠지만 적통이 단절되어 먼 헐통에서 왕을 옹립한 경우도 조(祖)가 붙습니다.
조선시대 왕의 명칭에서 조와 종의 차이
개국군주 도는 국난 치른 왕은 '祖', 왕위를 정통으로 계승한 왕은 '宗'
조선시대 왕의 명칭을 보면 태조·세조처럼 '조(祖)'를 쓰기도 하고, 태종·세종처럼 '종(宗)'을 붙이기도 합니다.
임금이 죽은 뒤 종묘(宗廟)에 신위를 모실 때 정하는 존호(尊號)를 '묘호(廟號)'라고 합니다. 묘호에는 종(宗)과 조(祖) 두가지가 있는데 생전의 공적을 평가받아 붙입니다.
한국학중앙연구원이 편찬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에 따르면 대체로 나라를 처음 일으킨 왕이나 나라의 전통이 중단된 것을 다시 일으킨 왕에게는 '조(祖)'를 썼고, 왕위를 정통으로 계승한 왕은 '종(宗)'을 붙였습니다. 조선을 개국한 이성계를 태조로 칭한것이 대표적입니다.
반전(反正)을 통해 즉위했거나 재위시에 큰 국난을 치른 임금들도 대체로 조(祖)의 묘호를 가지게 됬습니다. 광해군을 몰아낸 인조와 임진왜란을 겪은 선조, 홍경래의 난을 치른 순조 등이 그렇고, 반정은 아니지만 단종을 몰아내고 왕위에 오른 세조도 같은 범주에 들어갑니다.
연산군을 몰아내고 즉위한 중종도 인종 초에 '조'로 칭해야 한다는 논의가 있었으나, 중종이 성종의 직계로 왕위를 계승했기 때문에 '종'으로 하는 것이 옳다는 견해가 우세하여 중종으로 자리잡았습니다.
하지만 '조'가 창업이나 중흥을 이룬 왕에게 붙인다는 원칙때문에 '종'보다 격이 높다는 관념이 은연중에 유행했습니다. 영조와 정조, 순조는 본래 영종과 정종 순종이었으나, 고종때 영조, 정조, 철종 때 순조로 개정한것입니다.
참고로 신라 왕 가운데 묘호를 쓴 이는 태종 무열왕밖에 없고, 고려때는 태조 왕건만 조(祖)를 묘호로 썼습니다.